청소년상담/상담이론

인간중심 상담이론

kkulding 2023. 4. 30. 00:02
반응형

1. 개요.
창시자: 로저스(Rogers)
내담자 중심, 비지시적 상담입니다.
1940년대, 정신분석 상담보다 40년이나 늦게 시작되었지만, 정신분석 상담에 대한 반동으로 급속히 보급되었습니다.
상담과 심리치료를 같은 의미로 취급하였고 이론이 단순하여 학습이 용이하기 떄문에 비의사라도 심리요법이 가능합니다.
인간의 주관적 경험에 기초한 것으로 문제를 다룸에 있어, 내담자를 보다 신뢰하고 내담자에게 책임을 부여합니다.
Rogers는 개인의 행동이 그 현실에 대해 지각하는 '주관적 현실'에 의해 이해되어야 한다고 했습니다. 한 개인이 자기 성장을 방해하는 부정적인 행동을 선택하는 것은 자신의 세계에 대한 주관적 경험이 부정적이기 때문이라 합니다.
그러나 모든 인간은 바람직한 방향으로 성장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 있다는 관점이기에 상담으로 내담자의 자각을 증가시키고, 자발적이며, 내담자 자기 자신을 믿고 완전하게 기능시키려 합니다.

2. 주요개념
내담자는 문제를 자각하고 그것을 해결하는 방법을 작하는 능력을 지녔다고 보는 이론이기 때문에, 자신의 길을 탐색하려는 내담자의 능력에 대한 믿음에 초점이 맞춰져있습니다. '잠재력 발견 및 실현' 이상적 자아와 현실적 자아 간의 일치성, '부적응 또는 심리적 문제 경험' 자기가 바라는 이상과 현실적인 자기존재 간의 불일치의 결과로 봅니다.

- 실현경향성(The Actualizing Tendency): 모든 인간이 인간적 성장에 관심을 두고 잠재력을 실현하려는 경향.
- 인간 존재성(Human-Beingness): 인간의 좌절, 게으름은 개인의 가능성과 잠재력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자신의 잠재가능성을 발견하지 못하고 자신을 왜곡시켰기 때문.
- 진정한 자기(Self)를 발견하고 자아실현을 이룬 사람 '충분히 가능한 사람(The Fully Functioning Person)'이라고 함.
- 충분히 가능한 사람(The Fully Functioning Person): 진정한 자신의 모습을 발견하고 끊임없이 성장하고 있는 사람들
- 따라서 자기실현은 완성이나 결과가 아닌, 노력하는 과정을 의미.
- 경험에 대한 개방성: 경험을 왜곡이나 부정 없이 그대로 현실적으로 수용하는 자세, 부정적인 경험을 자기성찰의 기회로 삼음.

실존적인 삶에 가치를 둡니다. 현재에 초점을 두죠. 지금 최선을 다하는 것이 미래의 잠재를 보장한다고 보고 있습니다.

*자기개념
자기 자신이 자신을 어떻게 보는지 또는 받아들는지에 관한 자신의 주관
입니다.
인간중심 상담에서 중요시하는 것은 내담자가 진정한 자신(Real Self)의 모습을 발견하는 것입니다.
개인이 자기를 발견하는 것은 그 개인에게만 달려있는 것이 아닌 주위 환경의 영향을 받는 것이죠.
즉, 중요한 타인의 자신에 대한 태도, 관계 속에서 자신을 알게 됩니다.
아동은 타인과의 사회적 경험을 통해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자기개념이나 자기상을 형성하는데 이것이 바로 인간중심이론의 성격발달과정입니다.

자아개념이 성격이나 행동양식의 결정요인으로 보고 있으므로 성격변화를 원한다면 자아개념을 변형해야 한다고 보는 이론입니다. 이 자아개념의 변형은 불안한 일이므로, 고수해가려는 자기방어(왜곡, 부인)가 나타납니다.

3. 인간중심 상담의 목표
- 내담자가 자기를 개방하고, 자기를 신뢰하고, 발전하며, 자발성과 생기를 찾도록 돕습니다.
- 내담자의 자기존중 회복, 왜곡된 자기개념을 수정함으로써 자기실현을 할 수 있도록 합니다.
- 타인과의 관계나 가치조건으로 만들어진 '거짓된 자기'에서 벗어나 '진실한 자기'를 발견하도록 돕습니다.
- 상담자의 전문가적 상담기술이 아닌 상담자의 진실성과 내담자에 대한 무조건적인 긍정적 존중, 수용, 공감을 통해 내담자 스스로 만들어 내도록 합니다.

4. 상담자의 역할
- 내담자가 상담자의 진실성(상담자 자신이 상담전문가로서의 권위와 역할로 자신을 꾸미지 않고 상담관계에서 있는 그대로 자신의 모습을 드러내는 것)이 느껴지도록 해야 합니다.
*단, 내담자의 일거수일투족에 대해 상담자가 동의하거나 승인해야 한다는 것이 아닙니다. 중요한 것은 내담자의 행동, 감정 그리고 생각 그 자체가 아니라 그러한 행동을 하고 감정을 느끼고 생각을 하는 내담자의 인간으로서의 가치를 수용하는 게 중요합니다.
- 무조건적인 긍정적 존중, 판단하지 않고 무조건적으로 수용하고 공감합니다.
이를 통해 내담자는 왜곡된 자기개념을 변화시키고 자기를 존중함으로써 자기성장의 방향으로 나갈 수 있습니다.
- 내담자가 과거에 부정되고 왜곡된 자기 측면을 경험하고, 성장을 방해하는 요인들을 인식하기 위해 자기 탐색을 하도록 하는 안전한 분위기를 제공합니다.

5. 상담기법
상담자와 내담자는 비지시적 상담관계를 갖어야 하며 상담자는 진실성(상담자 자신이 상담전문가로서의 권위와 역할로 자신을 꾸미지 않고 상담관계에서 있는 그대로 자신의 모습을 드러내는 것)을 보이며, 내담자에게 무조건적인 긍정적 반응(존중, 수용, 공감)을 통해 내담자가 '진정한 자기' 찾도록 하는 기법입니다.
상담은 무조건적인 긍정적 반응이 기초로 이루어지지만, 상담자가 정말 진실성이 있다면, 내담자의 성장을 위해 내담자에 대해 느끼는 부정적인 표현도 솔직하게 말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6. 상담과정
인간중심상담에서의 중심적인 역할은 바로 '내담자의 경험'입니다.
내담자가 상담 중에 자기에 대해 내적으로 통찰하며 수용하고 이해가 깊어지는 경험을 하면서 심리적 고통은 줄어들고 자기개념이 긍정적인 관점으로 바뀌어 갑니다.

상담자의 무조건적인 존중과 신뢰를 통해 내담자가 자신을 완전히 신뢰하고 존중하며 긍정적인 자기개념을 갖게 됨으로써 자기성장과 자기실현을 이루는 것 인간중심 상담과정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