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메라 이론/카메라 기초지식

포커싱(Focusing)

by kkulding 2023. 5. 3.
반응형

포커싱(Focusing)은 피사체의 초점을 조정하는 작업을 말합니다.
주 피사체의 초점 정도에 따라 아웃 포커싱(Out of Focuse),  포커싱(In of Focuse),  포커싱(Fan of Focuse)으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포커싱은 피사체에 카메라가 가까워질수록 아웃 포커싱이  일어나고, 반대로 피사체와 카메라가 멀어질수록  포커싱이  이뤄집니다. 이 말은 즉, 같은 위치에서 사물을 찍을 경우 광각렌즈보다 망원렌즈가 상대적으로 피사체를 가깝게 찍으므로 아웃포커싱을 하기 쉬우며 반대로 광각렌즈는 팬 포커싱을 하기 좋습니다.

- 아웃 포커싱(Out of Focuse)

포커싱을 잡은 곳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흐리게,  포커스 아웃을 시키는 기법입니다. 보통 표현하고자 하는 피사체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빼기 위한 방법으로 피사체를 강조하게 됩니다.
조리개 값이 낮을 수록(조리개를 개방할수록), 렌즈의 초점거리가 클수록(망원렌즈), 피사체와 뒷배경의 거리가 넓어 아웃포커싱이  이루어집니다.


- 인 포커싱(In of Focuse)

뒤쪽 피사체에 초점을 맞추어 앞쪽 피사체를 흐려지도록 촬영하는 기법입니다. 아웃포커싱의 촬영방법과 같습니다.



- 
 포커싱(Fan of Focuse)

조리개 값을 높여(조리개를 조여, 심도를 깊게) 전체적인 풍경이 선명하게 촬영하는 기법입니다. 망원렌즈보다 광각렌즈가 하기 쉬우며, 사진이 선명하기 때문에 풍경사진에 주로 활용합니다.

반응형

'카메라 이론 > 카메라 기초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빛의 종류  (0) 2023.05.03
렌즈필터  (0) 2023.05.03
화이트 밸런스  (0) 2023.05.03
측광모드  (0) 2023.05.02
노출의 3요소 (조리개, 셔터속도, ISO)  (0) 2023.04.2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