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카메라 이론/촬영법5

비 오는 날 사진 찍기 '비는 밝은 피사체' 비는 투명한 물이기 때문에 비가 오는 날, 맑은 날에 쵤영한다면 비는 아마도 사진 속에서 거의 보이지 않을 것입니다. 따라서 비를 잘 표현하기 위해서는 어두운 배경에서 촬영하는 게 비가 잘 보이고 비를 잘 찍을 수 있습니다. '하늘은 어둡지만 땅은 빛난다' 비가 오는 하늘은 어둡고 아름답지 않지만 비에 젖은 땅은 빛나고 아름답습니다. 그래서 비가 오는 날에는 하늘을 찍기보다는 비에 젖은 지상 위주로 앵글을 잡아주는 게 비를 표현하는데 유리합니다. 또한 빗방울의 표현하려면 느린 셔터속도가 필요합니다. 셔터 속도가 빨라지면 빗방울의 크기는 짧아지고 우리의 눈에 잘 보이지 않게 되기 때문입니다. 한여름의 소나기처럼 앞이 안 보일 정도로 퍼붓는 폭우의 경우에는 빠른 셔터속도(1/25, 1/.. 2023. 5. 3.
음식 사진 음식의 주제를 강화하자. 음식을 촬영할 때 전체를 다 담으려고 하다 보니 음식에 집중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불필요한 주위의 모든 것들을 다 담으려 하면 정작 내가 보여주고 싶은 음식에 집중하기 어려워집니다. (촬영은 빼기.) 찍고 싶은 음식이 있다면 그 음식에 포커싱을 하고 다른 주위의 것들을 빼고 촬영하도록 합니다. 또한 볼륨감 있는 음식은 테이블에 앉아서 버는 각도보다 살짝 낮춰서 촬영해야 더욱 볼륨 있어 보입니다. 반대로 볼륨감 있는 음식은 음식의 탑뷰(위에서 촬영하는 앵글) 또는 부감샷으로 촬영하면 볼륨감은 전혀 표현이 되지 않는 단점이 있습니다. 정면에서 입체적인 사물을 부감샷으로 찍게 되면 평면스럽고 단조롭게 느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만약 부감샷을 찍고 싶다면 빛의 방향이 중요합.. 2023. 5. 3.
풍경사진 사실 풍경 사진을 잘 찍는 법은 따로 존재하지 않습니다. 인물 사진이건 풍경 사진이건 사진에는 정해진 규칙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단순히 풍경 사진을 촬영할 때 조금은 도움이 될 만한 팁들이 있을 뿐입니다. - 수직 수평을 잘 맞춰서 촬영할 것. 카메라 설정에서 그리드를 활성화시키고(격자 활성화) 촬영을 한다면 아무래도 수직과 수평을 잡는데 조금은 도움이 될 것이고, 삼분할 촬영을 하기에도 좀 더 쉬울 것입니다. - 포커싱을 정확하게 할 것. 사진을 찍다 보면 어떤 사진은 선명한데 어떤 사진은 선명하게 찍히지 않고 또 어떤 사진은 노출이 맞는데 어떤 사진은 너무 밝거나 너무 어둡게 찍히는 경우가 간간히 있으실 겁니다. 이유는 포커싱이 제대로 맞춰 지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사진의 결과는 포커싱이 매우 중요합.. 2023. 5. 3.
인물사진 렌즈 교환식 카메라를 구입하는 가장 큰 이유 중의 하나가 배경이 예쁘게 날아간(아웃 포커싱 된) 사진을 찍어보고 싶어서 일지도 모릅니다. 아웃포커싱은 인물 사진에 있어서 배경을 빼는 역할을 해주기 때문에 인물에 집중할 수 있어 유리합니다. 렌즈 교환식 카메라 뿐만 아니라 필름 카메라에서 스마트폰을 포함해 디지털 사진으로 넘어오면서 사람을 촬영할 일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과거 필름을 사용하던 시절에는 '셀카'를 촬영하는 사람은 극히 드물었으나 요즘은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인물사진은 대체로 세로 사진이기 때문에 영어로 portrait(포트레이트)라 부릅니다. *portrait (세로 방향의) 이야기가 있는 사진은 스냅사진이나 여행 사진으로 분류합니다. * 인물 사진 프레이밍 종류 - 풀샷 (Full.. 2023. 5. 3.
황금비율(삼분할 법) 황금 비율은 우리가 학창 시절에 배운 황금비율에서 비롯됩니다. "한 선분을 1: 1.618의 비로 나누었을 때 전체 길이와 긴 선분의 비율이 긴 선분의 길이와 짧은 선분의 길이의 비율과 같을 때를 말한다." 분명 한글로 쓰여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 번에 이해하기 힘든 문장이죠. 그래서 쉽게 황금 비율에 가깝게 촬영할 수 있는 방법이 '삼분할 법'입니다. 삼분할 법이란 교차점이 되는 네 개의 꼭짓점에 촬영을 하고자 하는 피사체가 포커싱 될 때 비로소 황금 비율에 맞는 사진을 얻게 되는 촬영 방식을 말합니다. 이 공식에 대비해서 인물 사진이라면 피사체의 시선 방향에 여백을 두고 촬영을 하면 대체적으로 실패할 확률이 적어지게 되고 풍경 사진이라고 한다면 주제가 되는 곳(하늘이나 바다 등)을 2/3의 비율로 잡아.. 2023. 5.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