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44 게슈탈트 상담이론 1. 개요 중심인물: 프리츠 펄스(Fritz Perls) 게슈탈트 심리학자들은 당시에 팽배했던 행동주의에 정면으로 반대하는 심리학의 체계를 개념화하고 있었습니다. 게슈탈트란 자신의 욕구나 감정을 하나의 의미 있는 전체로 조직화하여 지각한 것을 의미합니다. 게슈탈트 이론은 총체적인 유기체로서의 인간이 깨어있고 지각하는 매 순간의 감정과 생각을 중시하며 이렇게 반응하고 활동할 때 건강한 행위가 나올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그러나 여러 가지 이유로 자신에 대한 집중과 주의가 분산되고 분열되면서 비효율적이고 비정상적인 행위와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고 봅니다. 인간은 사고와 감정뿐 아니라 신체와 관련해서 완결된 통합성을 충분히 획득할 수 있다고 봅니다. 2. 인간에 대한 기본관점 - 상호 연관된 부분으로 구성.. 2023. 4. 30. 실존주의 상담이론 1. 개요 중심인물: 프랭클(Frankle) 유럽에서 1, 2차 세계대전을 겪우면서 당시 사람들에게 팽배했던 허무주의와 극도의 패배감 속에서 태동한 이론입니다. 전쟁의 공포, 죽음의 필연성, 실존적 불안, 철저한 고립과 고독감 등은 인간존재와 삶 자체에 대한 회의와 가치를 탐구하도록 자극하였습니다. 대표학자인 프랭클은 유태인으로서 2차 세계대전 당시 수용소에서 삶과 죽음을 넘나드는 체험을 하였고, 극한 상황에서 나타나는 인간행동을 관찰할 기회를 가져 이론을 만들었습니다. 2. 관점 인간을 결정론적 관점에서 보는 것을 반대했습니다. 현상학과 실존주의에 철학적 기반을 두는 인본주의적 관점이기 때문에 구체적인 기법이나 체계보다는 인간 자체에 대한 이해와 숙고를 강조합니다. 특히 '자유, 자기결정, 의지, 결단.. 2023. 4. 30. 행동주의 상담이론 1. 개요 중심인물 파블로브(Pavlov): 고전적(반사) 조건화 (Classical conditioning) 손다이크, 스키너(Thorndike, Skinner): 조작 조건화 (Operant condition) 반두라(Bandura): 사회학습이론 정신분석학에 반발하면서 태동된 이론으로, 인간의 행동은 학습되었기 때문에 역으로 어떤 행동이든 탈 학습될 수 있고, 그 자리에 새로운 행동이 학습될 수 있다고 보는 관점입니다. (행동은 학습의 산물) 따라서 행동주의 상담은 재교육 혹은 재학습 과정을 중시합니다. 이 때문에 상담자는 내담자로 하여금 적응행동을 강화하고 부적응행동은 소거하는 계획을 개발하도록 조력합니다. 학습이론에 근거해 행동을 수정하거나 변화시키는 행동수정 전략을 사용합니다. (Pavlov .. 2023. 4. 30. 인지주의 상담이론 1. 개요 중심인물: 엘리스(Ellis) 인지주의 관점에서 인간행동은 개인의 사고, 가치, 신념 등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았습니다. 개인의 감정과 행동은 상황에 대한 개인의 지각방식에 의해 좌우된다는 인지결정론의 입장이죠. 올바른 사고와 신념을 통해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으며 왜곡된 사고와 신념은 부적절한 행동을 야기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Ellis의 합리적 정서치료(Rational Emotive Therapy: RET)에서 개인의 정서장애가 사건이나 상황에 대한 왜곡된 지각, 잘못된 생각, 신념으로부터 발생된다는 것에서 출발합니다. 그리고 인지주의 상담은 내담자의 부정적인 신념과 사고를 재구성함으로써정서장애나 문제행동을 해결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개인 행동과 감정은 그 자신의 신념과 사고에 .. 2023. 4. 30. 인간중심 상담이론 1. 개요. 창시자: 로저스(Rogers) 내담자 중심, 비지시적 상담입니다. 1940년대, 정신분석 상담보다 40년이나 늦게 시작되었지만, 정신분석 상담에 대한 반동으로 급속히 보급되었습니다. 상담과 심리치료를 같은 의미로 취급하였고 이론이 단순하여 학습이 용이하기 떄문에 비의사라도 심리요법이 가능합니다. 인간의 주관적 경험에 기초한 것으로 문제를 다룸에 있어, 내담자를 보다 신뢰하고 내담자에게 책임을 부여합니다. Rogers는 개인의 행동이 그 현실에 대해 지각하는 '주관적 현실'에 의해 이해되어야 한다고 했습니다. 한 개인이 자기 성장을 방해하는 부정적인 행동을 선택하는 것은 자신의 세계에 대한 주관적 경험이 부정적이기 때문이라 합니다. 그러나 모든 인간은 바람직한 방향으로 성장할 수 있는 잠재력을.. 2023. 4. 30. 정신분석 상담이론 1. 개요. 중심인물 : 프로이트(Freud) 성격발달 이론, 인간관 및 치료기법, 인간의 무의식에 초점을 두었습니다. 프로이트는 인간을 비합리적이고, 결정론적인 존재로 가정하고 있습니다. 유아기의 경험(유아기의 욕구충족과 좌절)이 성격형성에 영향을 준다고 판단하였습니다. 모든 행동은 의식이 아닌 무의식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았으며 이 무의식에 원초적인 본능(성적 본능과 공격적 본능)이 존재한다고 합니다. 인생 초기의 성적 본능(리비도)은 연령에 따라 신체의 각기 다른 특정부위로 집중됩니다. 성적욕구가 충족되고 조정되는 경험을 겪는다면 정상적인 성격 발달이 되며 성적욕구가 다른 신체부위로 옮겨가지 못하고 특정 심리성적 발달단계에 머무는 '고착'이 발생할 경우, 잘못된 성격의 발달(퇴행)을 야기한다고 합니다.. 2023. 4. 30. 노출의 3요소 (조리개, 셔터속도, ISO) ● 노출(Exposure) '카메라의 센서에 도달하여 일정시간 동안 시각적 데이터를 생성하는 빛의 양'입니다. ● 조리개(Diaphram, Aperture, Aperture stop) Aperture은 라틴어로 원래 구멍이라는 뜻에서 유래, 원형으로 된 작은 구멍을 뜻합니다. 사실 카메라는 사람 눈과 비슷한 구조를 하고 있어요. Aperture(구멍)은 사람 눈의 동공과 같은 역할입니다. 조리개(Diaphram)는 사람 눈의 홍채와 같은 역할. 홍채는 이완과 수축을 통해 안구로 들어오는 빛의 양을 조절합니다. 밝은 곳에서는 수축해 동공으로 들어오는 빛의 양을 적게 하고 어두운 곳에선 이완하여 동공으로 들어오는 빛의 양을 많게 하죠. 조리개가 홍채와 같은 역할을 하므로 조리개를 조이면 노출값이 낮아지고, .. 2023. 4. 29. 줌렌즈 vs 단렌즈 렌즈에 대해 공부하기에 앞서 초점거리와 화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초점거리 (Focal Length) 학교 과학시간에는 렌즈의 기준점과 렌즈를 통해 굴절된 빛이 모이는 초점 간의 거리라고 배우거나 책에서 한 번쯤 보셨을 겁니다. 하지만 카메라에서는 렌즈에서 투과된 빛이 모이는 점(제 2주점)과 센서까지의 거리를 뜻합니다. 화각 (Angle of View) 초점거리에 따라 화각이 달라지며 렌즈의 초점 거리는 풀프레임 기준으로 표기하기 때문에, 그래서 크롭바디에서는 위의 이미지와 같은 화각이 나오지 않고 좁아집니다. 전에 크롭 팩터라고 말했었죠? 이미지센서의 크기가 차이가 나기 때문에 그 비율만큼 렌즈의 화각도 조정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1:1.6 크롭바디에 50mm 초점 거리의 풀프레임 렌즈를 장착.. 2023. 4. 29. 카메라의 모드 카메라의 모드는 일반적으로 4가지로 구분합니다. 브랜드마다 부르는 명칭은 다를 수 있지만 결과적으로는 같은 방식이니 걱정하지 맙시다. 기본적으로 A, S, P, M 4가지 모드가 있고 별개로 Auto 모드도 있습니다. A모드 (Aperture) : 설정한 조리개 값에 따라 SS가 자동으로 바뀌는 모드. '조리개 우선 모드', 캐논 카메라의 경우 AV(Aperture Value)라고 부릅니다. 이처럼 회사별 부르는 이름이 다를 수 있지만, 모두 다 조리개 값을 셋팅하면 셔터스피드는 카메라 자체에서 적정 노출을 결정하여 촬영을 하게 되는 방식입니다. 조리개 값은 '사진 밝기' 외에 '심도'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심도의 표현이 필요한 사진에 주로 사용되며, 정물 사진이나 단체 사진에 적합합니다. ISO감도와.. 2023. 4. 29. 이전 1 2 3 4 5 다음 반응형